google-site-verification=Z4PyAP4Fquab41dXPDm-HC8qQ5lPr2A7aK0Q4taxJlQ 축산 환경 혁신 우수 사례 공모전 2025
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축산 환경 혁신 우수 사례 공모전 2025

by Notipy 2025. 8. 17.

환경부·농식품부 공동 주최 ‘2025년 축산환경 혁신 우수사례 공모전’ 안내

생활 속 가축분뇨 처리시설에서 일어난 친환경·저비용·고효율 혁신 사례를 찾습니다. 올해는 환경부와 농림축산식품부가 함께 공모를 열어, 공공처리시설공동자원화시설에서의 운영 개선과 환경 문제 해결 사례를 집중 발굴합니다.

 

공모 기간: 2025. 8. 18. ~ 9. 12.
주최: 환경부·농림축산식품부
접수: 축산환경관리원 전자우편(edu@lemi.or.kr)


 한눈에 요약

  • 대상 분야: ① 가축분뇨 공공처리시설, ② 가축분뇨 공동자원화시설
  • 모집 내용: 친환경 기술 도입, 저비용·고효율 운영, 현장 환경 개선·운영 혁신 사례
  • 평가: 서면평가로 분야별 3점씩(총 6점) 선발 → 9. 30. 대면평가로 대상·최우수·우수 선정
  • 시상: 총 700만 원, 장관상 포함
  • 활용: 우수사례는 향후 교육·홍보 자료로 확산

 표로 보는 공모 안내

1) 공모 개요

항목내용

공모명 2025년 축산환경 혁신 우수사례 공모전
주최 환경부·농림축산식품부
공모 기간 2025. 8. 18.(월) ~ 9. 12.(금)
공모 대상 가축분뇨 처리시설의 환경 문제 해결 또는 운영 개선 구체 사례(제안서 형태)
분야 공공처리시설 / 공동자원화시설
접수 방법 이메일 제출: 축산환경관리원 edu@lemi.or.kr
제출 형식 제안서(상세 서식·분량은 기관 안내에 따름)
활용 계획 선정 사례는 교육·홍보 자료로 활용

2) 평가 기준·절차

구분 세부 기준 설명
혁신성/도입 노력 기술·운영 혁신성 새로운 기술 도입, 현장 적용 노력, 개선 의지
타당성/신뢰성 내용의 정확성·근거성 데이터·근거의 명확성, 재현 가능성
개선 효과/성과 환경·운영 성과 오염 저감, 비용 절감, 효율 향상 등 정량·정성 성과
현장 적용성/구체성 확산 가능성 다른 시설로의 적용 용이성, 절차·지표의 구체성
절차 서면평가 → 대면평가 서면으로 분야별 3점(총 6점) 선발 → 9. 30. 대면평가로 최종 시상 순위 결정

3) 시상 내역

구분 분야 훈격 상금
대상 공공처리시설 환경부 장관상 200만 원
대상 공동자원화시설 농식품부 장관상 200만 원
최우수상 각 분야 축산환경관리원장상 100만 원
우수상 각 분야 자원순환농업협회장상 50만 원
총 상금     700만 원

4) 주요 일정

단계 일정 비고
공고/접수 8. 18. ~ 9. 12. 이메일 접수(edu@lemi.or.kr)
서면평가 접수 후 분야별 3점(총 6점) 선정
대면평가/시상 9. 30. 대상·최우수·우수 확정

 배경·의의

  • 지난해 1회 공모는 환경부 단독으로 교육 효과·인식 개선 사례를 모집.
  • 2회차인 올해농식품부와 공동 주최로 전환, 시설 운영 개선·환경 개선에 초점을 맞춰 현장 중심 혁신을 확산합니다.
  • 공공처리·공동자원화 시설은 지역 환경보전과 오염방지의 핵심 인프라로, 저비용·고효율 기술친환경 운영
    확산이 중요합니다.

※ 이런 사례가 유리해요(예시)

  • 친환경 기술 도입으로 악취·수질오염·슬러지 발생을 실질적으로 감축한 사례
  • 운영 최적화(에너지 절감, 공정 개선, 자동화·디지털 모니터링 등)로 **비용↓ 성능↑**를 입증한 사례
  • 협업·참여 모델(지자체·농가·업체 간 협업)로 지속가능한 운영 체계를 만든 사례
  • 재사용·자원화(바이오가스·퇴비 품질 개선 등)로 순환경제 성과를 낸 사례

※ 위 예시는 방향성을 돕기 위한 것이며, 최종 평가는 제출 자료의 근거·성과·확산성을 종합 반영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간단 가이드)

  • 누가 지원하나요? 공공처리시설·공동자원화시설 운영 주체(기관·지자체·사업자 등) 또는 관련 실무자.
  • 무엇을 제출하나요? 실제 현장에서 환경 문제 해결/운영 개선의 구체 사례제안서로 작성해 제출.
  • 자료 분량·서식은? 기관 안내(축산환경관리원) 기준에 따르며, 정량 성과(수치) 제시가 유리합니다.
  • 접수처는? edu@lemi.or.kr(축산환경관리원). 마감일 **9. 12.(금)**까지 도착 기준 권장.

● 현장의 작은 바뀜이 전국 표준이 됩니다

이번 공모전은 규제 중심이 아닌 현장 성과 공유·확산에 방점이 있습니다.

우수사례는 교육·홍보 자료로 전국에 확산되어, 축산환경 개선의 자율·협력 문화를 키우는 촉매가 될 것입니다.


문의처

환경부

  • 수질수생태과
    • 과장 김경록 (☎ 044-201-7060)
    • 사무관 현왕진 (☎ 044-201-7080)

농림축산식품부

  • 축산환경자원과
    • 과장 김재경 (☎ 044-201-2351)
    • 사무관 김보민 (☎ 044-201-23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