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ogle-site-verification=Z4PyAP4Fquab41dXPDm-HC8qQ5lPr2A7aK0Q4taxJlQ 오픈랜·AI‑RAN·6G, 서울역·김포공항에서 먼저 만난다
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오픈랜·AI‑RAN·6G, 서울역·김포공항에서 먼저 만난다

by Notipy 2025. 8. 17.

과기정통부 보도 핵심 정리(2025. 8. 17.)
생활 가까운 인프라에서 개방형 무선 접속망(오픈랜, Open RAN)과 **지능형 기지국(AI‑RAN)**을 본격 실증합니다.

국내 기업 장비의 해외 수출 성과에 힘입어, 2025년에 서울역·김포공항

범망을 깔고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서비스를 선보입니다.

 


 왜 지금 오픈랜·AI‑RAN인가?

  • 기존 기지국 시장은 해외 대형사 과점 → 비용·유연성 한계.
  • 오픈랜은 개방형 표준으로 서로 다른 제조사 장비를 연동합니다. 경쟁 촉진과 비용 절감, 빠른 혁신이 장점이죠.
  • 다음 세대(6G)로 갈수록 **네트워크 지능화(AI‑RAN)**가 핵심 인프라로 부상. 국내 중소·중견기업의 글로벌 진출
  • 중요한 시점입니다.

한 줄 요약(요점)

“’25년 서울역·김포공항에서 오픈랜·AI‑RAN을 실증해, 안전·보안·품질을 끌어올리고 국내 기업의 글로벌 레퍼런스를 만든다.”


● 무엇이 달라지나

1) 실증 범위 확대

  • 기존 5G 상용망 실증 → 5G 특화망(Private 5G), AI‑RAN까지 넓힘.
  • AI 기술이 적용된 지능형 기지국으로 현장에서 통신과 AI 연산을 동시에 처리.

2) 생활 밀접 거점에서의 실증

  • 서울역: 다수의 무선 CCTV를 5G 특화망 오픈랜에 연결해 대용량 영상을 실시간 전송, 서버에서 혼잡도 실시간 분석으로 인파 쏠림 예방.
  • 김포공항: 출입제한 구역·보안 사각지대의 침입 즉시 감지, AI‑RAN으로 기지국에서 통신+AI 연산 동시 처리. 네트워크 신호 품질을 개선해 고품질·대용량 영상 안정 전송 검증.

3) 멀티벤더 오픈랜 구현(보도자료 기준)

  • LG전자 O‑DU(소프트웨어 기반 기지국) + 서로 다른 3개 제조사 O‑RU를 결합한 멀티벤더 환경.
    보도자료 기준 국내는 물론 세계 최초 사례로 소개되며, 다양한 조합·운용이 가능한 개방형 구조의 장점을 제시합니다.

4) 해외 진출 모멘텀

  • 5G 상용망 오픈랜 실증 성과를 바탕으로 국내 기업 장비가 독일·일본에 수출되는 성과가 나타났습니다.

 표로 보는 핵심 정리

① 실증 개요 한눈에 보기

구분 장소 망 유형 목적/서비스 핵심 기술 요소 기대 효과
혼잡·안전 서울역 5G 특화망 + 오픈랜 다수 무선 CCTV 실시간 전송 
혼잡도 분석
멀티벤더 오픈랜
(LG전자 O‑DU + 3사 O‑RU)
서버 기반
실시간 분석
인파 쏠림 선제 예방
철도 이용 안전 강화
보안·품질 김포공항 5G 특화망 + AI‑RAN 침입 즉시 감지·신속 대응
대용량 영상 안정 전송
기지국 단 통신+AI 동시 처리(AI‑RAN)
네트워크 신호 품질 개선
보안 사각지대 해소,
QoS 향상·지연 감소

② 시장 전망(보도자료 기준)

구분 2023/2024 2028/2030 연평균 성장률
오픈랜(Open RAN) 2023 24억 $ ’2028 68억 $ 연 23%
AI‑RAN 2024 11억 $ ’2030 86억 $ 연 41%


  기대 효과(정책·산업·국민 체감)

  • 정책/산업: 개방형 표준 채택으로 중소·중견기업 진입장벽 완화, 공급망 다변화, 국제 레퍼런스 확보.
  • 기술/운영: 상호운용성 강화, 멀티벤더 최적 조합으로 성능·비용 최적화. AI‑RAN으로 지연 감소·현장 의사결정 속도 향상.
  • 국민 체감: 역·공항의 안전·보안 고도화, 고품질 영상 서비스 등 직접적인 품질 개선.


  로드맵·일정(보도자료 기준)

  • 2025년: 서울역·김포공항 실증망 구축 및 서비스 검증 확대(5G 특화망 오픈랜 + AI‑RAN).
  • 이후: 실증 효과를 바탕으로 공공·민간 분야 전반으로 확산.

 용어 한 컷 정리

  • 오픈랜(Open RAN): 개방형 표준 기반 기지국. 서로 다른 제조사 장비 연동.
  • O‑DU(Distributed Unit): 기지국의 분산 처리 장치(소프트웨어 기반).
  • O‑RU(Radio Unit): 무선 신호 송수신 장치.
  • 특화망(Private 5G): 특정 공간·목적에 맞춘 맞춤형 5G.
  • AI‑RAN: 통신+AI 연산을 현장 처리하는 지능형 기지국/접속망.

6G 시대, ‘지능형 네트워크’ 선점으로 간다

과기정통부는 AI‑RAN 효과성을 선제 검증해 공공·민간으로 빠르게 확산시키고,

6G 시대 지능형 네트워크 시장 선점을 목표로 기술·산업 혁신을 이끕니다.


 문의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네트워크정책과
    • 과장 정영길 (☎ 044-202-6420)
    • 사무관 황원준 (☎ 044-202-6423)
    • 주무관 구은총 (☎ 044-202-6429)
  • 혁신네트워크팀
    • 팀장 이정기 (☎ 044-202-6415)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

  • 지능형네트워크단
    • 단장 나성욱 (☎ 053-230-1760)
  • 네트워크전략팀
    • 팀장 문재진 (☎ 053-230-1761)
    • 책임 장준희 (☎ 053-230-1796)